본문 바로가기

Holic/디자인계열

만화전공, 수험생이 전문학교를 찾는 이유

남녀노소 바쁜 현대인들이 틈틈이 시간을 내서 문화생활을 즐긴다. ‘인스턴트 문화’라는 새로운 소비패턴 중심에는 웹툰이 있다. 다양한 포털사이트에 등록된 웹툰들은 대부분 자정을 기준으로 업데이트가 되고, 독자들은 출근길이나 퇴근길에 짧은 시간을 들여 작품을 즐기고 있기 때문이다.

웹툰 시장이 급성장하면서 연간 매출액 1조 원을 돌파했다. 관련 조사가 진행된 이래 1조 원 달성은 처음이다. 국내를 시작으로 해외 시장으로 진출 속도를 높인데 이어 지적재산권(IP)을 활용한 다양한 수익 모델을 창출해 내며 시장 규모가 급속도로 커지고 있다.

2021년 한국콘텐츠진흥원은 문화체육관광부와 웹툰 산업 실태를 분석한 '2021년 웹툰 사업체·작가 실태조사' 결과 지난해 웹툰 산업 매출액 규모는 약 1조 538억 원으로 전년(약 6400억 원) 대비 64.6% 증가했다. 2017년 실태조사가 시작된 이래 처음으로 매출 규모 1조 원을 돌파한 것이다.
이에 따라 만화학과에 대한 관심도 뜨겁다. 이전에는 디자인과 회화에 맞춰진 전공이 주를 이루었다면 서울 및 지방권 대학들도 만화학과를 신설해 본격적으로 웹툰 산업의 인재 양성에 주력하고 있다. 서울예술전문학교 '웹툰창작계열'에는 '웹툰창작', ‘웹소설’, '게임/만화일러스트', '디지털애니메이션' 과정을 운영하고 있다.

가방끈 보다 실무 교육
웹툰 작가에게 중요한 것은 우수한 학벌이 아닌 자신의 작품이다. 때문에 만화 전공에 지원하는 다수의 학생들은 학교 간판 보다 커리큘럼과 교강사진에 대해 알아보는 경우가 많다. 서울예술실용전문학교 웹툰창작계열 김지연 전임은 “웹툰은 서양화와 달리 스토리와 연출이 있는 그림이다. 재능이 있어도 자신의 스토리를 그림으로 전달할 수 있는 테크닉이 없다면 독자들의 마음을 사로잡을 수 없다”고 전했다.

서울예술실용전문학교에서는 기본 교과과정 외에 심화과정이 개설되어 있어 좀 더 세분화된 테크닉을 배울 수 있고, 학생들은 본인이 창작한 만화와 일러스트 작품을 다양한 디지털 콘텐츠에 접목하여 디자인을 할 수 있는 능력까지 배양하여 좀 더 다양한 분야로의 진출을 모색할 수 있다.

실력 있는 교강사진
학생들을 지도하는 교강사진 역시 현업에 맞춰져 있다. 최근 『중증외상 센터 : 골든아워』, 『닥터 조선 가다』 웹 소설 작가 한산이가를 겸임으로 임용했다.

또한, 매년 웹툰 작가에게 필요한 창의력과 표현력을 개발하기 위해, 네이버 웹툰 '닥터프로스트' 작가 이종범, 네이버 웹툰 '다이스' 작가 윤현석, 네이버 웹툰 '갓오브하이스쿨' 작가 박용제 등 현업 교강사진이 실기 수업 외 학생들의 멘토 역할도 함께 담당하고 있다.

우수한 데뷔 사례
서울예술실용전문학교 웹툰창작계열 졸업생들은 빠르게 데뷔하며 웹툰 작가로 성공했다. 네이버 웹툰 <리얼월드 : 밸런스붕괴자> 작화, 카카오페이지 <그 영애가 소꿉친구를 피하는 이유>, <베이비 드래곤> 데뷔에 성공했으며 이박에도 봄툰, 팜툰, 탑툰 등에서 자신들의 웹툰을 선보이고 있다.

 

http://www.sart.ac.kr/new/division/webtoon_main

 

서울예술실용전문학교

끝이 다른 시작, 실습 중심 수업, 분야별 전문 스타 교강사진, 수능 내신 미반영, 인서울 2년제, 대형 기획사 오디션

www.sart.ac.kr